날짜: 12-02-2020 02:46 AM
10열을 가진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하면,
3,4,5번 열에 데이터를 입력해야 합니다.
1번 행의 3번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탭키를 누르면 (1, 4) 셀로 커서가 이동합니다.
마우스로 (1,4) 셀을 클릭하지 않아도 되니까 데이터 입력이 편합니다.
그런데 (1, 5) 데이터 입력후 탭 키를 누르면 (1, 6) 셀로 이동합니다.
제가 원하는건 (1, 5) 셀에 데이터를 입력한후 탭 키를 누르면 다음 행의 3번 열로 커서가 이동하게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탭 키를 누르면 커서가,
(1, 3) (1, 4) (1, 5)
(2, 3) (2, 4) (2, 5)
(3, 3) (3, 4) (3, 5)
....
이런 식으로 커서가 이동하게 하려고 합니다.
고수님들의 도움 부탁합니다.
해결되었습니다! 솔루션으로 이동.
12-02-2020 07:05 AM - 편집 12-02-2020 07:08 AM
비슷하게 만들어 봤습니다.
랩뷰 버전별로 올립니다.
요약.
1. 이벤트 구조에서 키다운? 이벤트를 생성한다.
2. 옆으로 이동할거면 버림? 에 F 를 넣어서 이벤트를 수행시키고
3. 밑으로 이동할거면 버림? 에 T를 넣어서 탭키 누른거를 취소시킨후, 편집점을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4. 여기에는 빠져있지만, 눌려진 키가 tab 키가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추가되어야 합니다.
날짜: 12-02-2020 04:39 PM
감사합니다.
랩뷰의 기본 함수들만 사용하고, 컨트롤참조 같은 고급 기능들은 잘 모르는데,
초랑님과 같은 고수분들은 컨트롤참조 기능을 잘 사용하시는 것 같네요.
컨트롤참조를 사용하면 제가 모르는 많은 기능을 개발할 수 있을것 같네요.
컨트롤참조 기능에 대한 교육이나 학습 자료 같은게 있을까요?
저도 앞으로 컨트롤참조를 공부해야 겠습니다.
컨트롤 참조는...그냥 객체의 개념입니다.
1. 하나의 객체는 모양과 동작으로 정의된다. : 프로퍼티와 인보크로 구성되는데, 프로퍼티에서 왠만한건 다 건들 수 있습니다.
2. 객체는 부모 객체와 자식객체로 구성된다. : 부모 객체는 좀 더 일반적인 것(예를 들어서, 불리언 컨트롤), 자식 객체는 부모객체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추가되거나 수정된 것(예를 들어서, 스위치 타입 불리언 컨트롤). 따라서 자식 객체에만 있는 프로퍼티도 존재하고, 부모 객체의 프로퍼티도 존재한다.
3. 객체의 프로퍼티는 프로그램 실행중에도 수정이 가능하다.
4. 객체는 컨트롤/인디케이터 뿐아니라, VI 그 자체도 객체이고, 이벤트도 객체에 포함된 동작중에 하나이고....모든 것이 객체이다.
5. LabVIEW 도 이런 객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뭐 이런식으로 기본 개념을 익힌 후, 하나하나 해보면 재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