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voltage가 멀티미터로는 안정적이지만과 daq디바이스로 읽을 때는 노이즈가 심합니다

pci 6221을 bnc 2120에 연결해 볼티지를 읽으려하는데 노이즈가 심해서(10mV 정도) 도무지 활용할 수가 없습니다.

Source의 문제인가 해서 끝단의 전위차를 멀티미터로 측정하니 1mV수준의 노이즈만 안정적으로 측정됩니다.

 

Labview내의 저역통과 필터링도 도움이 크게 되지 않고 응답속도가 떨어져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이건 장비의 한계인가요? 해결 가능한가요?

0 포인트
1/4 메시지
1,752 조회수

 

공식적인 메뉴얼상으로 PCI-6221의 AI 정확도는 3100 uV 로 나옵니다.

즉 3.1mV 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말이죠.

 

여기에 H/W 적인 문제가 합쳐지면 질문하시는 분의 노이즈와 같이 나올것으로 예상합니다.

 

H/W 적인 발생 요인은 전선 , 입력 임피던스 같은 문제가 있겠습니다. 

또한 DAQ의 아나로그 입력이 Mux 방식이라서 Mux가 작동하면서 오차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정확도를 원하시면 여러개를 샘플해서 평균을 내는 방식과 정확도 높은 하드웨어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정확도 높은 것은 NI-DMM 이 있겠죠.

 

멀티미터는 자체적으로 평균을 많이 내어 오차를 줄이고 있습니다. 또한 입력 임피던스도 높죠.

 

NI M 시리즈의 평균 입력 임피던스는 200K Ohm 정도 됩니다.

물론 Mux가 선택하지 않으면 10 MOhm 이상이지만 AI를 위해 Mux가 그 채널을 선택하면 200K Ohm 정도로 됩니다.

 

이상적인 전압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가 되야 하나 실제 H/W에서는 저항값을 가지죠.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선(동축, 트위스트, 실드), 목적에 따른 H/W 선택 (DAQ Device), 입력 임피던스를 높이기 위한 OP-Amp Follower 같은것들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그외에 S/W 적인것은 여러개를 취득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2/4 메시지
1,724 조회수

당장 테스트 해보실려면, 

베라31 가셔서 아이스크림 케익을 사드시고 남은 아이스박스 좌우에 구멍을 내시고,

 

그 안에 BNC-2120을 넣고 테스트 해보시면 됩니다.

아이스박스를 쿠킹호일로 감싸 주시면 더 좋구요.

 

BNC-2120으로 들어가는 시그널선이 덜렁덜렁 하지 않도록,  아이스박스의 구멍을 작게 내시고 케이블 타이 같은 것으로 고정하시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도 아직 다 알지 못하는 내용이지만,,,,

https://www.ni.com/ko-kr/support/documentation/supplemental/06/field-wiring-and-noise-considerations...

요기 참고하시는 것도 좋겠네요

0 포인트
3/4 메시지
1,667 조회수

차동으로 연결하고 계시다면 -와 GND를 같이 연결해주어야 노이즈에 안정적입니다.

0 포인트
4/4 메시지
1,551 조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