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웹 출판기능 질문드립니다.

해결 완료!
솔루션으로 이동

웹 출판기능을 사용해서 웹페이지에 vi가 보이게 했습니다.

 

같은 WIFI를 사용하는 노트북에도 해당주소를 입력하면 잘 나타납니다.

 

하지만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면 DNS_PROBE_FINISHED_NXDOMAIN 오류가 발생합니다.

 

외부에서도 vi가 보이게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0 포인트
1/7 메시지
1,924 조회수

방화벽 해제 해보시고 https://forbes.tistory.com/196 링크에 나오는 방법 적용해보세요

 

확실히 해결될진 모르겠네요.

0 포인트
2/7 메시지
1,908 조회수

타임아웃 오류만 계속 나오네요.. 

 

웹출판 했을때 DNS 쪽이 문제인거같은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아시나요 ?

0 포인트
3/7 메시지
1,905 조회수

https://knowledge.ni.com/KnowledgeArticleDetails?id=kA03q000000YHeGCAW&l=ko-KR

위 설명처럼 하신거겠죠?

 

만든 실행한 과정, 네트워크 환경 에러 캡쳐 화면도 첨부하시는게 원인을 알기에 도움이 됩니다.

 

고정 ip로 해보시고 통신사가 다르면 안 됐다는 것도 본적이 있는거 같네요.

0 포인트
4/7 메시지
1,885 조회수

여기에서부터는 네트워크의 영역인데요,일단

일단,,,WAN, LAN의 차이를 아시는지 궁금하네요.

 

WAN 은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인터넷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여기에서 사용하는 IP주소 가 진짜 IP주소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서버가 사용하는 것입니다.

 

_0-1632793745912.png

 

LAN은 WAN 에 있는 IP주소 1개를 따와서(위의 그림에서는 128.63.0.101로 표현),

독립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고(192.168.0.xxx) 등  여기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는 로컬 네트워크 IP 입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처럼 진짜 IP를 가지고 있는 서버는 IP 주소만 넣어도 접속이 되지만, 

(크롬 주소창에 142.250.66.100 쳐 보세요. 구글로 접속됩니다.)

일반적인 회사에서 사용하는 IP는 로컬 네트워크 IP 이기 때문에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속할 수 없습니다.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는 로컬 컴퓨터 끼리는  IP 주소만(192.168.0.xxx) 넣어도 그 컴퓨터로 연결이 되지만

외부 네트워크(커피숍이나, 핸드폰 테더링 같은 걸로 인터넷 하는 노트북에서)에서 로컬 네트워크로 들어오려면,

128.63.0.101 의 진짜 IP를 가지고 있는 회사 서버에 접속해서, 회사 서버가 192.168.0.xxx 의 내부 네트워크로 접속을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이를 포트포워딩 이라고 합니다.)

--------말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경로에 방화벽을 풀어야하고..... 등등등....

 

이것들을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DDNS 입니다.

먼저, DNS 를 말씀하셨는데,   DNS 는 142.250.66.100 = www.google.com  으로 IP주소를 도메인에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고,

여기서 www.google.com 을 도메인이라고 하고, DNS를 도메인 이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 라고 합니다.

DNS는  진짜IP를 가지고 있는 서버를 사용할 때 필요한 겁니다.(혹은 카페 링크 같은거라도 있을 때)

 

DDNS는 DNS 와 DNS 프로그램을 설치한 PC(내부든, 외부든 인터넷에 연결되기만 하면) 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DuckDNS 같은 곳이 있구요.(회원가입하고 프로그램 설치하면 됩니다.)

사용법은  - https://jimnong.tistory.com/789 

여기를 이용하시면  ID.duckdns.org 라는 도메인을 받을 수 있고,  

외부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주소 창에  ID.duckdns.org 라고 치면, 

지금 개발 중이신 노트북으로 연결됩니다.

 

다른 DDNS 서비스는 공유기회사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 https://luckygg.tistory.com/271

이걸 사용하면 ID.iptime.org  의 도메인을 얻을 수 있습니다.

 

 

DDNS 를 사용하지 않고, DNS 를 사용하시려면,

'가비아' 같은 곳에 가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도메인 세팅에서 IP 주소(진짜 IP)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ip주소를 얻으실려면, 전용선을 사용하시거나 서버 임대 등을 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회사의 it부서에 문의하세요

아니면, 도메인만 구매하시고(1년 유지에 2만원 정도), 도메인 연결을 DuckDNS 같은걸로 하시면

구매하신 도메인을 크롬에 치면 DuckDNS가 개발자 노트북까지 연결해 줍니다.(느림)

 

 

 

 

 

 

 

5/7 메시지
1,884 조회수

같은 공유기를 사용하고있는 pc는 통신이 됩니다.

 

컴퓨터에서 VI파일을 만들고 노트북에서 보는것처럼 말이죠

 

근데 이걸 3G쓰는 핸드폰에서 접속하려고 할때 오류가 납니다.

0 포인트
6/7 메시지
1,883 조회수
솔루션
주제 작성자 뚜따이(가) 승인함

긴 답변 감사합니다.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시도할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하였습니다.

1. 웹 출판기능을 이용해 .html 파일 생성

 

2. 라우터 설정에 들어가서 외부 IP 번호 확인

 

http://외부 IP 번호 : 포트번호/파일이름.html 으로 접속을 시도하여  성공했습니다.

0 포인트
7/7 메시지
1,867 조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