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09-28-2021 09:06 PM
안녕하세요.
랩뷰쓰면서 daqmx를 처음 써보게되었습니다. (usb-6501)
아래 그림과같이 단일 라인 단일 포트,라인에 관해서 동작이 되는 것은 확인했습니다.
몇 가지 문의사항있는데
1. 보통은 port가 1개라면 라인이 8개정도되는데
이걸 일일히 "버추얼채널생성" 함수에 넣어주고 써야만하나요?
아래그림처럼
USB-6501/port0/line0 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아닌
USB-6501/port0/line2, USB-6501/port1/line4 의 출력을 제어하고싶다면 "버추얼채널생성"함수를
그 갯수만큼 만들어주고 해야하는건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2. 사실 첫 daqmx사용이기도 하고 처음에는 저 함수 맨위의 "테스크입력" 부분에 연결했더니 계속 에러가 나더라구요
테스크와 라인의 차이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테스크시작"함수 없이 아래 처럼 "DAQ Write"위에 True로 넣고 써도되는지
(동작은 되긴 하는데 다들 테스크시작함수를 사용하시는것 같아서요)
태스크는 하나만 생성합니다.
USB-6501/port0/line0:7 이런식으로요
그리고....
디지털 출력은 '모든 라인에 대해서 하나의 채널' 로 기본값이 되어 있어서,
단일 채널 N 라인으로 선택합니다.
그러면 여러 라인들 데이터를 배열로 넣을 수 있습니다.
배열이 귀찮으면, 포트 포맷으로 넣으면 됩니다.
그러면 여러 라인을 정수로 넣을 수 있습니다.
1을 넣으면 0000 0001
2를 넣으면 0000 0010
3을 넣으면 0000 0011
와 같이 켤 수 있습니다.
09-29-2021 09:09 PM - 편집 09-29-2021 09:10 PM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테스크가 아니고 라인 부분에 연결해야만 에러가 안나는데
왜 그런걸까요?
어느 부분을 말씀하시는건지?
질문이 너무 광범위하네요
일단 태스크는 MAX에서 미리 만들어 둔거 쓰는거고
create virtual channel 로 태스크를 생성할 때는 물리적 채널을 연결하는게 맞습니다